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트위치
- 토픽 모델링
- 개체명 인식
- 블루아카이브 토픽모델링
- 클래스 분류
- SBERT
- Optimizer
- 옵티마이저
- CTM
- 원신
- 문맥을 반영한 토픽모델링
- 자연어 모델
- 다항분포
- KeyBert
- NLP
- geocoding
- BERTopic
- 구글 스토어 리뷰
- Roberta
- 코사인 유사도
- 피파온라인 API
- 데이터리안
- LDA
- Tableu
- 포아송분포
- 데벨챌
- 블루 아카이브
- 데이터넥스트레벨챌린지
- 붕괴 스타레일
- 조축회
Archives
- Today
- Total
분석하고싶은코코
(1)-2. Python 기초 정리 본문
반응형
Python 기초 관련 내용 정리. Jupyter Notebook사용.
1주차 스터디 노트 - Python¶
변수 선언¶
Python 변수의 자료형태를 따로 지정해줄 필요가 없다
In [1]:
a = 'a' #String
b = 123 #Integer
c = True #Blooean
print(f'a : {type(a)}, b : {type(b)}, c : {type(c)}')
a : <class 'str'>, b : <class 'int'>, c : <class 'bool'>
출력 방법¶
출력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
In [2]:
testString = 'Hello Python'
print('testString : ' + testString)
print(f'testString : {testString}')
print('testString : %s' % testString) # %d : 정수, %f : 실수, %s : 문자열
print('testString : {}'.format(testString))
testString : Hello Python testString : Hello Python testString : Hello Python testString : Hello Python
연산자¶
산술, 비교, 논리 연산자
In [3]:
import math
#산술
num1 = 10
num2 = 2
result_add = num1 + num2
result_sub = num1 - num2
result_mul = num1 * num2
result_div = num1 / num2
result_divmod = divmod(num1,num2)
result_pow = num1 ** num2
result_pow2 = math.pow(num1,num2)
print('result_add : ' + str(result_add)) # print문 안에서는 단순 문자열 + 숫자로 표현하면 에러가 발생 숫자->문자로 캐스팅하여 출력
print(f'result_sub : {result_sub}')
print(f'result_mul : {result_mul}')
print(f'result_div : {result_div}')
print('result_divmod : {}'.format(result_divmod))
print('result_pow1 : {}, result_pow2 : {}'.format(result_pow, result_pow2)) # 정수와 정수의 거듭제곱은 정수 반환, math의 pow모듈 사용시 실수로 반환
print('')
#복합 연산자
n1 = 0
n1 += 10 # n = n + 10
print(f'n1 : {n1}')
print('')
#비교
boolString = 'Hello'
result_bool = (num1 > num2)
result_bool2 = (num1 < num2)
result_bool3 = (num1 == num2)
result_bool4 = (boolString == 'Hello')
result_bool5 = (boolString == 'HellO')
result_bool6 = (boolString > 'Hello')
print(f'num1 > num2 : {result_bool}')
print(f'num1 < num2 : {result_bool2}')
print(f'num1 == num2 : {result_bool3}')
print(f'boolString == "Hello" : {result_bool4}')
print(f'boolString == "HellO" : {result_bool5}') #대소문자 구분
print(f'boolString > "Hello" : {result_bool6}')
print('')
#논리 연산자
print('{} and {} : {}'.format(True, True, (True and True)))
print('{} and {} : {}'.format(True, False, (True and False)))
print('{} or {} : {}'.format(True, False, (True or False)))
print('{} or {} : {}'.format(False, True, (False or True)))
result_add : 12 result_sub : 8 result_mul : 20 result_div : 5.0 result_divmod : (5, 0) result_pow1 : 100, result_pow2 : 100.0 n1 : 10 num1 > num2 : True num1 < num2 : False num1 == num2 : False boolString == "Hello" : True boolString == "HellO" : False boolString > "Hello" : False True and True : True True and False : False True or False : True False or True : True
operator¶
모듈 : 누군가 이미 만들어 놓은 기능, import를 통해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.
(python 모듈 관련 페이지 들어가면 원하는 기능을 이미 많이 구현해놨으므로 복잡하게 구현해야할 기능이 있다면 찾아보는게 좋다)
opeartor : 산술 연산 관련 모듈
이건 잘 안쓸듯..?
In [4]:
import operator
num1 = 10
num2 = 2
print('{} +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add(num1,num2))))
print('{} -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sub(num1,num2))))
print('{} *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mul(num1,num2))))
print('{} /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truediv(num1,num2))))
print('{} **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pow(num1,num2))))
print('')
print('{} ==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eq(num1,num2))))
print('{} !=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ne(num1,num2))))
print('{} >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gt(num1,num2))))
print('{} >=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ge(num1,num2))))
print('{} <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lt(num1,num2))))
print('{} <= {} : {}'.format(num1,num2,(operator.le(num1,num2))))
10 + 2 : 12 10 - 2 : 8 10 * 2 : 20 10 / 2 : 5.0 10 ** 2 : 100 10 == 2 : False 10 != 2 : True 10 > 2 : True 10 >= 2 : True 10 < 2 : False 10 <= 2 : False
In [5]:
kor = 97
eng = 95
mat = 90
#간단한 조건문
print('국어가 점수가 더 높네요!') if kor > eng else print('국어가 점수가 더 낮네요...')
#양자택일
if kor > eng :
print('국어가 점수가 더 높네요!!')
else:
print('국어가 점수가 더 낮네요...')
#다자택일
if kor > eng:
print('국어가 영어보다 점수가 더 높네요!!')
elif kor > mat:
print('국어가 수학보다 점수가 더 높네요!!') # 앞의 kor > eng 만족으로 실행되었으므로 다음 조건문이 참이여도 실행되지 않음
else:
print('국아가 점수가 제일 낮네요...')
#중첩 조건문
if kor > eng:
if kor > mat:
print('국어 점수가 가장 높습니다!')
else:
print('국어는 수학보다 점수가 낮아요..')
else:
print('국어 점수가 갖아 낮아요...')
국어가 점수가 더 높네요! 국어가 점수가 더 높네요!! 국어가 영어보다 점수가 더 높네요!! 국어 점수가 가장 높습니다!
반복문¶
반복문에는 for, while이 있다.
범위에 의한 반복 -> for
조건에 의한 반복 -> while
continue -> 해당 코드 실행시 continue 이하 구문은 실행하지 않고 다음 실행으로 넘어간다
break -> 해당 코드 실행시 반복문이 끝난다
In [6]:
flag = True
cnt = 0
#for문
for i in range(10):
# 3의 배수이면 2의 배수여도 출력하지 않고 다음으로 넘어감 -> 6출력되지 않음.
if i % 3 == 0:
continue
# 2의 배수이면 i 출력
if i % 2 == 0:
print(f'i : {i}')
#while문
while flag:
print(f'cnt : {cnt}')
cnt += 1
# cnt는 0부터 증가 출력후 1증가. 10일때 출력문 이전에 조건문을 먼저 반복문 탈출.
if cnt == 10:
break
#중첩 반복문 (구구단 출력)
for i in range(2,10):
for j in range(1,10):
print('{} * {} = {}\t'.format(i,j,(i*j)), end ='')
print(end='\n\n')
i : 2 i : 4 i : 8 cnt : 0 cnt : 1 cnt : 2 cnt : 3 cnt : 4 cnt : 5 cnt : 6 cnt : 7 cnt : 8 cnt : 9 2 * 1 = 2 2 * 2 = 4 2 * 3 = 6 2 * 4 = 8 2 * 5 = 10 2 * 6 = 12 2 * 7 = 14 2 * 8 = 16 2 * 9 = 18 3 * 1 = 3 3 * 2 = 6 3 * 3 = 9 3 * 4 = 12 3 * 5 = 15 3 * 6 = 18 3 * 7 = 21 3 * 8 = 24 3 * 9 = 27 4 * 1 = 4 4 * 2 = 8 4 * 3 = 12 4 * 4 = 16 4 * 5 = 20 4 * 6 = 24 4 * 7 = 28 4 * 8 = 32 4 * 9 = 36 5 * 1 = 5 5 * 2 = 10 5 * 3 = 15 5 * 4 = 20 5 * 5 = 25 5 * 6 = 30 5 * 7 = 35 5 * 8 = 40 5 * 9 = 45 6 * 1 = 6 6 * 2 = 12 6 * 3 = 18 6 * 4 = 24 6 * 5 = 30 6 * 6 = 36 6 * 7 = 42 6 * 8 = 48 6 * 9 = 54 7 * 1 = 7 7 * 2 = 14 7 * 3 = 21 7 * 4 = 28 7 * 5 = 35 7 * 6 = 42 7 * 7 = 49 7 * 8 = 56 7 * 9 = 63 8 * 1 = 8 8 * 2 = 16 8 * 3 = 24 8 * 4 = 32 8 * 5 = 40 8 * 6 = 48 8 * 7 = 56 8 * 8 = 64 8 * 9 = 72 9 * 1 = 9 9 * 2 = 18 9 * 3 = 27 9 * 4 = 36 9 * 5 = 45 9 * 6 = 54 9 * 7 = 63 9 * 8 = 72 9 * 9 = 81
반응형
'Python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중급 연습문제 (0) | 2022.10.12 |
---|---|
(1)-3. Python 중급 (0) | 2022.10.07 |